]
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똑바로寶記(보기)

Home > 간행물 > 웹진 '통' > 이전호보기 > 똑바로寶記(보기)
게시글 상세보기
여행 같은 인생, 그리고 '우리의' 장애
작성자 장애인직업안정연구원
첨부파일
 
 
 
여행 같은 인생, 그리고 '우리의' 장애
 
 

박재훈(www.gyool.net

가만히 길을 걸으면 내 하얀 스니커즈도 분홍빛으로 물들 것만 같이 벚꽃이 온 세상 가득하던 2012년의 봄 한가운데, 나는 한 공기업의 최종합격 소식을 받아들고는 계획도 없이 혈혈단신 제주도행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대학졸업 직후 창업했던 벤처사업을 건강상의 이유로 부득불 그만두고, 새로운 진로를 모색하겠다며 '모험 같은 인생길'에 뛰어든 지 꼭 3개월만의 일이었다. 제주도 여행은 그 모험을 무사히 마친 나에게 스스로가 주는 선물이자 상(賞)이었던 것이다.
 
그 여행은 나에게 여러모로 특별한 의미였다. 진로변경을 단기간 내에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것을 기념하는 것 외에도, 나 홀로 떠난 내 인생 첫 번째 여행이란 점에서도 그랬고, 남들은 제 집 드나들듯이 한다는 제주도를 처음 방문하는 것이라는 점에서도 그랬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내가 내 장애를 대하는 태도가 완전히 바뀐 터닝 포인트란 점에서도 그랬다.
 
 
여행경비를 아끼기 위해 나는 '게스트하우스'라는 곳에서 숙박을 해결했는데, 게스트하우스는 일반적으로 다인실로 구성된 숙소로서, 처음 만나는 사람들과 같은 공간에서 밤을 함께 보내는 방식의 저렴한 숙박시설이다. 게스트하우스에서 잠을 청하는 사람들은 나와 같은 개인 여행객들이 대부분이었는데, 같은 공간에 같은 처지의 사람들이 여럿 모여 있다 보니 이야기꽃이 피는 것은 시간문제다. 그렇게 여행에 대한 정보도 교환하고 여행을 하며 겪은 이야기들을 나누던 중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여행지에서는 누구나 장애상황을 겪는다'는 점이었다. 사람들은 여행지에서 길을 잃은 이야기, 음식이 몸에 맞지 않아 탈이 난 이야기, 바뀐 바이오리듬에 적응하지 못해 몸살에 걸린 이야기들을 늘어놓았다. 이야기를 듣다보니 내가 겪은 불편들이 더 작아 보일 지경이었다.
 
그때까지 나는 외박을 해본 적이 없었을 뿐만 아니라, 가족 중 유일한 장애인으로서 가족들로부터 여러 도움을 받으며 자란 사람이었다. 감기라도 걸린 날이면 어머니며 남동생이며 나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알아내기에 분주했고, 그런 광경은 내게 매우 익숙한 일상이었다. 그런 내가 난생 처음으로 홀로 여행길에 올랐고, 그 곳에서 '나의 일상생활'에 평소 얼마나 '많은 도움'이 필요했던 것인지 절감하게 되었다. 식사를 빼먹지 않고 챙기는 일, 식사 후 약을 제시간에 먹는 일, 다리에 통증이 찾아왔을 때 적당한 대처법을 찾는 일. 가족이 없는 곳에서의 나는 마치 손발이 묶인 듯 어느 것 하나 쉽게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없었다. 여행지에서 홀로 겪는 나의 일상생활은 내가 이미 뛰어넘은 '진로변경'이라는 모험보다 어쩌면 '더 큰 모험'이었던 셈이다. 그런데 다른 여행객들의 이야기를 듣고 보니 나만 장애를 겪는 건 아니지 않는가! 다시 말해서, 내가 겪은 '장애의 원인'이 모두 '나에게만' 있는 것은 아니었던 것이다.
 
그렇다. 다시 생각해보니 나도 여행을 오기 전까지는(부모님과 동생의 도움이 있긴 했지만, 그 도움을 통해) 내 장애로 인한 불편을 크게 느끼지 못하며 살아오지 않았던가. 그리고 그 덕분에 나 홀로 떠나온 여행길 위에서야 겨우 내 장애가 날 참으로 많이 불편하게 할 수 있다는 걸 느끼게 되지 않았던가 말이다.
 
그런데 곰곰이 생각해보면, 사실 우리의 한 평생 인생도 여행과 크게 다르지 않다. 모든 사람들은 각자 인생길 위에서 갖은 장애상황을 맞닥뜨리게 되며, 그 장애상황을 적절히 잘 해결하는 사람들이 그렇지 못한 사람들보다 더 나은 인생을 살게 된다. 하지만 사람들이 모두 스스로의 힘만으로 장애상황을 극복하는 것은 아니다. 우리는 알게 모르게 전기·수도·도로·대중교통·치안·의무교육·복지정책 등 우리가 '공동체라는 이름으로 함께 일군 자산'으로부터 시시각각 숱한 도움을 받으며 다양한 장애상황들을 극복하며 살아가고 있다. 그런데 그 사회적 자산이 미치는 '도움의 질'이 사람의 부류마다 다르게 결정되어 있다면, 특정 부류의 사람들은 처음부터 '잘 못 살수 밖에 없는' 사람으로 결정되어 있는 것 아니겠는가.
 
우리는 내 가족을 위해, 내 이웃을 위해, 그리고 나를 위해 한 발짝 더 영리해질 필요가 있다. 우리 사회가 '장애인'이라 규정하는 사람들이 겪는 '장애 상황'은 과연 모두 '그들의 문제'로부터 기인한 것인가? 아니면 그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사회적 자산을 미처 마련하지 못한 '공동체의 미숙함'인가? 우리 사회가 그저 '굶어 죽지 않을 만큼 먹고 사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 급급했던 시절을 지나, '어떻게 하면 Well-Being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시기에 접어들었음을 인정할 수 있다면, 우리는 이제 이 질문에 진지한 자세로 대답을 강구해야만 한다.

 
다음글 어딘가에서 고군분투하고 있을 로트렉과 김기창과 쿠사마 야요이를 위하여
이전글 민간부문의 장애인고용서비스 종사자를 바람직하게 활용하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