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똑바로寶記(보기)

Home > 간행물 > 웹진 '통' > 이전호보기 > 똑바로寶記(보기)
게시글 상세보기
음악으로 소통하는 아이들
작성자 유아영
첨부파일

음악으로 소통하는 아이들

유아영 (음악치료사)
미국 메사추세츠 주에 위치한 보스턴 아동 병원(Boston Children’s Hospital)은 2016년 세계 최고의 아동 병원으로 뽑힌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병원이다. 이 병원에는 여러 부속 센터들이 있는데, 그 중 마사 엘리엇 센터(Martha Eliot Center)에서는 지역주민들을 위한 프로그램이 활성화 되어 있다. 3~5세의 발달장애 아동들과 그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얼리 프리벤션 프로그램(Early Prevention Program) 또한 그 중 하나이다. 2008년 당시 다양한 환자들과 접촉하던 중 이 프로그램의 담당자로부터 이 치유 세션에 동참할 의사가 있는지 물어보는 연락을 받았고, 이 프로그램에 함께 하였다.

처음 프로그램을 시작하기 전까지는 여러 가지 기대와 고민이 있었다. 과연 언어와 몸짓을 잘 이해하고 알아듣지 못하는 발달장애 아동과 어떻게 소통을 할지, 또 그들은 어떻게 자신을 표현할지 궁금했다. 갓난아기처럼 울음을 터뜨리거나 옹알이를 하며 어떤 단어라도 내뱉으려 할까 아니면 그저 바라보고 속으로만 자신의 생각을 삭힐까. 안타깝게도 내 두 번째 짐작이 다반사라는 걸 발견했다. 각 아이에게 인사말을 건넸지만 대부분의 아이들은 나를 쳐다보기만 할 뿐 아무런 반응이 없었다. 심지어 같이 참여한 부모의 권유에도 별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어떻게 이 아이들을 세상과 소통하게 할지 참으로 많은 고민을 하게 되었다.

얼리 프리벤션 프로그램은 전문가의 평가(Assessment)를 거쳐 발달장애의 징후를 보이는 11명의 아이들과 그 부모님을 포함한 총 22명이 참여하는 프로그램으로써, 백인, 흑인 등 다양한 인종이 섞여 있고 여러 언어를 동시에 사용하고 있었다. 동양인은 한 명도 없었는데 장애가 있어도 문화적으로 드러내지 않는 성향 때문일 수도 있고, 일단 보스턴에 비교적 동양인 인구가 적기 때문일 수도 있다. 많은 대학이 있기 때문에 공부하러 온 유학생들은 많지만 거주하는 교포들은 많이 없기 때문이다. 매 주 약 2시간동안 진행되는 이 프로그램의 처음 30분은 자유 놀이(Free Play) 시간으로써, 참여하는 아이들과 부모들이 함께 준비되어 있는 놀이방 시설과 소품들을 가지고 자유롭게 노는 시간이다. 또한 서로 친숙해지는 시간이면서 동시에 지도자들이 아이들을 관찰하는 시간이기도 하다. 이 시간을 통해 기존의 평가를 수정하기도 하고, 아이들과 부모의 역학(疫學)을 살펴보기도 하는 것이다. 그 다음에는 집단 활동을 진행한다. 이 시간에는 악기뿐만 아니라 미술도구를 활용하기도 하는 등 제한을 두지 않고 집단의 구성원들이 사회적인 상호작용(interaction)을 지켜보고 지도자가 개입하여 조정한다. 마지막에 진행되는 것이 음악시간이다. 악기로 여러 가지 소리를 내고 노래와 율동을 하며 아이들이 자신들을 표현할 수 있게 돕는다. 말을 아직 배우지 못한 영유아가 옹알이를 하거나 울음소리로 자신의 현재 감정을 나타내듯 음악을 통해 표현하게 하는 것이 쉽지 않지만, 그들에게 새 언어를 가르치는 것처럼 차근차근 관심을 기울이며 반복하다가 보면 어느새 음악을 통해 서로를 느낄 수 있었다.

조쉬(가명)는 북처럼 두드리는 악기를 잡으니 마치 빛을 받아 꽃이 만개하듯 얼굴에 생기가 돌았다. 활짝 웃으며 그 아이는 몸을 흔들기 시작했다. 자신의 손이 악기와 닿았을 때 생기는 진동, 그 소리에 반응을 한 것이다. 조쉬의 어머니는 그 광경을 보시고는 입을 다물지 못했다. 내 아들이 이렇게 몸을 흔드는 모습을 본 적이 없다고 하셨다. 일정한 패턴이 없이 그 아이는 손이든 발이든 주변에 있는 장난감이든 무엇이든지 잡아 악기를 쳤다. 그 때마다 그 아이의 세포가 살아나듯 몸이 꿈틀거렸다. 새로운 세계가 열린 것이다.
밴(가명)은 또래에 비해 키가 꽤 큰 아이였는데, 내가 기타로 연주하는 것을 한참 지켜보다가 주변에 아무도 없을 때 다가왔다. 나도 그 아이를 물끄러미 바라보며 이 곡 저 곡 연주해주었는데 특정한 곡에 반응하더니 내 앞에 앉아 기타에 손가락을 얹었다. 그리고는 손가락을 밑으로 긁어내리는 시늉을 하면서 마치 나처럼 연주하려고 하는 듯 했다. 조심스레 기타를 아이에게 주고는 눈빛으로 쳐보라고 권유했다. 그랬더니 그 아이는 기타를 바닥에 놓고 마치 가야금을 연주하듯 한 줄 한 줄 눌러도 보고 튕겨보면서 한참 동안 기타를 손에서 때지 않았다. 이 탐구시간이 만족스러웠는지 기타를 내 쪽으로 밀고 그 아이의 지정석인 한 코너로 다시 돌아갔다. 그 이후로 세션에 참여할 때마다 그 아이는 기타를 연주하는 내 손을 주시했다. 담당자가 어머니께 말씀 드렸더니 기타를 선물로 주었는데 매일 열심히 먼지를 닦아주고 한두 번씩 줄을 튕겨서 소리를 내본다고 했다. 혹시 아는가, 지금 그 아이가 수준급 연주자가 되었을 지도 모르는 일이다.

세상에는 여러 가지 언어가 있다. 음악 또한 그 언어 중 하나다. 그 언어를 통해서 자기를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음악치료가 제공한다. 음악 치료사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세상과 소통할 수 있게 하는 연결고리가 되는 것이다. 발달장애가 있는 아이들이 언어로 쉽게 표현하지 못하는 것들을 소리를 통해 의사전달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바로 내가 해야 할 일이었다.

출처 : www.childrenshospital.org/about-us/locations/boston-childrens-at-martha-eliot-health-center

다음글 음악이 전달하는 따뜻한 희망
이전글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