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터寶記(보기)
Home > 간행물 > 웹진 '통' > 이전호보기 > 일터寶記(보기)
말(言)보다 그림으로 소통하는 예술가 | |
---|---|
작성자 | 장애인직업안전연구원 |
첨부파일 | |
말(言)보다 그림으로 소통하는 예술가박준범(YTN FM PD)
2016 JW Art Awards는 “꿈을 그리다”라는 부제를 안고 지난 11월 16일부터 27일까지 서울 혜화동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이음센터에서 전시회를 가졌다. 중외학술복지재단에서 주최하고 (사)꿈틔움에서 주관한 이번 공모전은 총 211점의 작품이 접수됐고, 그 중 35점이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JW Art Awards는 올해는 발달장애 아티스트들의 예술적 재능을 발굴하고 지원하기 위해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공모를 진행하였다. 올해 공모전의 대상은 여행 중 어느 카페에서 한가로이 밖을 내다보며 손님을 기다리는 여인의 모습을 표현한 이대호 작가의 <기다림>이 차지했다. “기다림” 누가 무엇을 기다리고 있다는 것일까? 그 기다림의 대상은 작가의 어머니일 수도, 사랑하는 연인일 수도, 혹은 꿈꾸는 미래일 수도 있을 것이다. 이대호 작가를 소개하는 작가노트에는 이대호 작가가 어려서부터 말보다 그림으로 표현을 더 잘했다고 기록돼 있다. 또, 섬세한 스케치와 남다른 관찰력으로 사소한 부분까지 놓치지 않고 묘사하는 것이 이 작가의 특징이라고 한다. 이대호 작가의 <기다림>이라는 작품을 보면, 이용채 시인의 <기다림의 시> 가운데 일부가 떠오른다.
만남은 어딘가 깊은 곳에 숨어 있었지만 그대를 기다리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가슴이 벅찬 저녁 무렵 먼 곳에서 기뻐하는 황홀한 노을빛을 닮은 기다림의 시 ![]() 요셉 보이스는 “모든 사람은 예술가다.”라고 말했다. 이번 2016 JW Art Awards 시상식에 참가 한 뒤, 말과 글로 자신의 내면세계를 표현하는 것 보다 미술을 통해 자신을 드러내는 것에 탁월한 사람들의 뛰어난 예술성을 느낄 수 있었다. 20세기 미술사의 큰 획을 그은 인물 중 한 명인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은 1917년 뉴욕시에서 열린 독립미술가협회에 소변기를 뒤집어 놓은 조형물을 제출하고 작품명을 “샘(Fountain)”이라고 명명한다. 그의 이단아적인 발상은 그 뒤에도 계속 되는데, 뒤샹은 예술이 관객과 갖는 관계뿐 아니라 예술의 의미를 탐구하기를 원했다. 뒤샹이 ‘예술’이라는 사상을 공격하지 않았더라면, 현대 작가들의 작품은 대중에게 여전히 받아들여지지 않았을 것이다.
![]() 발달장애 아티스트들의 꿈이 고스란히 담긴 ‘2016 JW Art Awards‘의 응모작 한 작품 한 작품이 모두 꿈을 꾸듯 넘실거리는 흥분으로 가득했다. 관객이 이 작가들의 작품과 커뮤니케이션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도 중요하지만, 이들의 작품이 왜 예술이 되어야 하는지 그 의미를 돌아볼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존 스타인벡(John Steinbeck)은 “우리 각자의 영혼은 그저 하나의 작은 조각에 불과해서 다른 사람들의 영혼과 합쳐져 하나가 되지 않으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주장한다. 장애인들의 영혼 한 조각과 비장애인들의 영혼 한 조각이 합쳐져 하나의 의미 있는 세상이 만들어 지는 지점에서 ‘2016 JW Art Awards‘ 시상식의 의미를 찾고 싶다.
![]() |
|
다음글 | 장애를 가진 청년들의 행복한 일터 ‘행복한 베이커리&카페’ |
이전글 | 안내견에 관한 A to Z |